[Paper review] Designing an Encoder for StyleGAN Image Manipulation
앞선 포스팅한 psp의 논문을 읽고 다음으로 읽은 논문이다. 개인적으로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는데, 논문에서 단순히 특정 모델을 바로 제시하기 보다는 latent space에 대해서 먼저 깊게 고찰하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모델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논문을 읽고나서 latent vector에 대해서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논문에서 핵심적으로 다루는 point는 distortion, perceptual quality, editability의 trade off이다. 논문의 설명을 빌려 세가지 용어에 대해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distortion→ generate한 이미지와 input 이미지가 얼마나 image space 상에서 적은 차이를 보이는지? perceptual quality→ invers..
Paper review
2022. 5. 6. 17:37